728x90
반응형
SMALL

2025/03/17 10

마귀가 이 세상을 다스림

마귀가 이 세상을 다스림성경은 마귀(사탄, Satan)가 이 세상의 권세를 잡고 있으며, 인간을 속이고 타락시키며 하나님을 대적하도록 유혹한다고 가르칩니다. 그러나 동시에 하나님께서 궁극적인 주권을 가지고 계시며,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미 사탄을 이기셨다는 것도 강조됩니다.1. 마귀는 어떻게 이 세상을 다스리는가?성경에서 마귀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 세상을 지배하려고 합니다.(1) 마귀는 "이 세상의 신"으로 불린다.성경은 마귀가 이 세상의 통치자와 같은 존재라고 말합니다.“그 중에 이 세상의 신(마귀)이 믿지 아니하는 자들의 마음을 혼미하게 하여…”(고린도후서 4:4)여기서 "이 세상의 신"이란, 마귀가 이 땅에서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마귀는 사람들의 마음을 가려 하나님의 진리를..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죽음을 뛰어넘는 예배자

죽음을 뛰어넘는 예배자죽음을 뛰어넘는 예배자란, 어떠한 고난과 두려움 속에서도 하나님을 향한 경배와 신앙을 포기하지 않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성경에서는 많은 인물들이 죽음을 앞두고도 끝까지 하나님을 예배하며, 신앙을 지키다가 영광스러운 승리를 거두었습니다.1. 죽음을 뛰어넘는 예배자의 의미예배는 단순히 노래하고 기도하는 행위가 아니라, 삶 전체를 하나님께 드리는 태도입니다.죽음을 뛰어넘는 예배자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하나님을 신뢰하고 예배하는 자입니다.죽음 앞에서도 하나님을 배반하지 않고 믿음을 지키는 자입니다.이들은 자신을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사는 자입니다.2. 성경 속 "죽음을 뛰어넘는 예배자" 사례(1) 아브라함 – 이삭을 바친 예배자 (창세기 22장)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부림절(Purim)

부림절(Purim)이란?부림절(푸림절, Purim, פורים)은 유대교의 중요한 명절 중 하나로, 페르시아 제국에서 유대인들이 학살 위기에서 구원받은 사건을 기념하는 절기입니다. 이 이야기는 구약성경 "에스더서(Esther)" 에 기록되어 있습니다.1. 부림절의 성경적 배경 (에스더서)(1) 페르시아 제국과 유대인들부림절의 사건은 페르시아 제국(기원전 5세기경)을 배경으로 합니다. 당시 페르시아 왕 아하수에로(크세르크세스 1세) 통치하에 많은 유대인들이 디아스포라(흩어진 유대 공동체)로 살고 있었습니다.(2) 등장인물아하수에로 왕: 페르시아 제국의 왕으로, 당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군주 중 한 명.하만(Haman): 왕의 최측근 대신으로, 유대인을 몰살하려는 음모를 꾸민 장본인.모르드개(Mordeca..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마태복음 12장 43절

마태복음 12장 43절 상세 해설"더러운 귀신이 사람에게서 나갔을 때에 물 없는 곳으로 다니며 쉬기를 구하되 얻지 못하고" (개역개정)1. 문맥적 이해이 구절은 예수님께서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의 불신앙과 악한 세대를 책망하는 말씀 중 하나입니다.앞서 예수님은 니느웨 사람들과 스바 여왕을 예로 들어 유대인들의 불신앙을 질책하셨습니다(마태복음 12:41-42).이어서 예수님은 더러운 귀신(악한 영)이 사람에게서 나간 후 어떻게 행동하는지 비유로 말씀하십니다.이는 단순한 악령의 행동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회개하지 않는 유대인들(특히 바리새인들)의 영적 상태를 경고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2. 핵심 의미① "더러운 귀신이 사람에게서 나갔을 때에""더러운 귀신"은 악한 영, 악마, 사탄의 세력을 의미합니다.사..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마태복음 12장 42절

마태복음 12장 42절 상세 해설"심판 때에 남방 여왕이 이 세대와 함께 일어나 이 세대를 정죄하리니 이는 그가 솔로몬의 지혜로운 말을 들으려고 땅 끝에서 왔음이거니와 솔로몬보다 더 큰 이가 여기 있느니라." (개역개정)1. 문맥적 이해이 구절은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이 예수님께 표적을 보여 달라고 요구한 것에 대한 대답의 연속입니다.예수님은 니느웨 사람들을 예로 들어 유대인들이 믿지 않는 것을 책망하셨습니다(마태복음 12:41).이어서 예수님은 남방 여왕(스바 여왕)을 언급하며,이방인인 그녀도 솔로몬의 지혜를 듣기 위해 먼 곳에서 찾아왔는데,유대인들은 솔로몬보다 더 위대한 예수님을 보고도 믿지 않는다고 말씀하십니다.결과적으로 스바 여왕도 최후의 심판 날에 믿지 않은 유대인들을 정죄할 것이라는 강한 경고의 ..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마태복음 12장 41절

마태복음 12장 41절 상세 해설"심판 때에 니느웨 사람들이 이 세대와 함께 일어나 이 세대를 정죄하리니 이는 그들이 요나의 전도를 듣고 회개하였음이거니와 요나보다 더 큰 이가 여기 있느니라." (개역개정)1. 문맥적 이해이 구절은 예수님께서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의 불신앙을 책망하시며 "요나의 표적"(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에 대해 말씀하신 후에 나오는 내용입니다.앞서 바리새인들은 예수님께 기적을 보여 달라고 요청했지만, 예수님은 그들에게 요나의 표적 외에는 아무 표적도 주지 않겠다고 하셨습니다(마태복음 12:39-40).그리고 이제 예수님은 니느웨 사람들과 당시 유대인들을 비교하면서, 니느웨 사람들은 요나의 설교를 듣고 회개했지만, 예수님을 보고도 믿지 않는 유대인들은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하십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마태복음 12장 40절

마태복음 12장 40절 상세 해설"요나가 밤낮 사흘 동안 큰 물고기 배 속에 있었던 것 같이 인자도 밤낮 사흘 동안 땅 속에 있으리라." (개역개정)1. 문맥적 이해이 구절은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이 예수님께 기적(표적)을 보여달라고 요구한 것에 대한 예수님의 대답 중 하나입니다.바리새인들은 예수님께서 이미 수많은 기적을 행하셨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믿지 않고 또 다른 표적을 요구했습니다(마태복음 12:38). 이에 대해 예수님은 "악하고 음란한 세대가 표적을 구하지만, 요나의 표적밖에 보여줄 것이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마태복음 12:39). 그리고 이어서 12장 40절에서 "요나의 표적"이 무엇인지 설명하십니다.2. 핵심 의미① "요나가 밤낮 사흘 동안 큰 물고기 배 속에 있었던 것 같이"이 부분은 구..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마태복음 12장 39절

마태복음 12장 39절 해설"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악하고 음란한 세대가 표적을 구하나 선지자 요나의 표적밖에 보일 표적이 없느니라." (개역개정)1. 문맥적 이해이 구절은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이 예수님께 기적(표적)을 요구한 것에 대한 예수님의 대답입니다.바리새인들은 예수님이 이미 수많은 기적을 행하셨음에도 불구하고, 예수님의 신성을 부정하며 또 다른 기적을 요구했습니다(마태복음 12:38).그러나 예수님은 그들의 요구를 거절하시며, "악하고 음란한 세대"라는 강한 표현을 사용하여 그들의 불신앙을 질책하십니다. 그리고 "요나의 표적"만이 그들에게 주어질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2. 핵심 의미① "악하고 음란한 세대가 표적을 구하나""악하다" → 바리새인들은 종교 지도자들이었지만, 그들의 마음은 완악했..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마태복음 12장 38절

마태복음 12장 38절 해설"그 때에 서기관들과 바리새인 중 몇 사람이 말하되 선생님이여 우리에게 표적 보여 주시기를 원하나이다." (개역개정)1. 문맥적 이해이 구절은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이 예수님께 기적을 보여 달라고 요구하는 장면입니다.이 장면은 바로 앞에서 예수님이 말의 중요성을 강조하시며, 바리새인들의 불신앙과 성령 모독에 대해 경고하신 후에 이어집니다(마태복음 12:37).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은 이미 예수님께서 수많은 기적을 행하신 것을 보았지만, 여전히 예수님을 믿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믿음으로 표적을 구한 것이 아니라, 예수님을 시험하고 트집을 잡기 위해 표적을 요구했던 것입니다.2. 핵심 의미"서기관들과 바리새인 중 몇 사람이"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은 율법과 전통을 철저히 따르던 종교 지도자..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마태복음 12장 37절

마태복음 12장 37절 해설"네 말로 의롭다 함을 받고 네 말로 정죄함을 받으리라." (개역개정)"네 말로 의롭다 함을 받고 네 말로 정죄함을 받으리라." (개역한글)"네 말이 너를 의롭다 하기도 하고 네 말이 너를 정죄하기도 하리라." (새번역)1. 문맥적 이해이 구절은 예수님께서 바리새인들과 논쟁하는 과정에서 나온 말씀입니다. 앞서 바리새인들은 예수님이 귀신을 쫓아내는 능력을 "바알세불(사탄의 왕)의 힘을 빌려 하는 것"이라고 모함했습니다(마태복음 12:24). 이에 대해 예수님은 성령을 거역하는 말과 악한 말의 위험성을 강조하시며, 사람이 하는 말이 심판의 근거가 된다고 경고하십니다.2. 핵심 의미"네 말로 의롭다 함을 받고"→ 사람이 어떤 말을 하느냐에 따라 하나님의 심판에서 의롭게 될 수도 있음..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