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2025/03/03 7

그리스도 예수의 날(The Day of Christ Jesus)

"그리스도 예수의 날(The Day of Christ Jesus)"은 신약성경에서 굉장히 중요한 종말론적, 구원론적 개념입니다. 이 표현이 가진 의미를 성경적, 신학적으로 상세하게 풀어드릴게요. 1. "그리스도 예수의 날""그리스도 예수의 날"은 주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시는 날, 즉 재림의 날, 그리고 그 날에 이루어질 최종 심판과 구원의 완성을 가리키는 말입니다.관련 성경구절빌립보서 1:6"너희 안에서 착한 일을 시작하신 이가 그리스도 예수의 날까지 이루실 줄을 우리가 확신하노라."빌립보서 1:10"너희로 지극히 선한 것을 분별하며 또 진실하여 허물 없이 그리스도 예수의 날까지 이르고."빌립보서 2:16"생명의 말씀을 밝혀 나의 다름질이 헛되지 아니하고 수고도 헛되지 아니함을 그리스도 예수의 날..

카테고리 없음 2025.03.03

광풍을 통한 영생의 축복

"광풍을 통한 영생의 축복"이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종교적, 영적 맥락에서 쓰이는 비유적 표현으로 보입니다. 이 표현을 해석하고 상세하게 풀어보자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1. 광풍(狂風)의 의미광풍은 말 그대로 "미친 듯이 강하게 부는 바람"을 뜻합니다. 자연현상으로 보면 파괴적이고 두렵고, 모든 것을 휩쓸어가는 힘입니다.그런데 신앙적, 영적 맥락에서는 광풍이 다음과 같이 상징되기도 합니다. 상징적 의미             설명시련과 고난광풍은 인생에서 갑작스럽게 몰아치는 고난, 역경, 재앙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하나님의 강한 역사성령의 강력한 임재나 개입을 광풍으로 비유하기도 합니다 (예: 오순절 성령강림).새롭게 하는 힘광풍이 묵은 것을 쓸어내고 새롭게 하듯, 영적 각성을 뜻하기도 합니..

카테고리 없음 2025.03.03

창세기 1장 2절

창세기 1장 2절"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히브리어 원문:וְהָאָרֶץ הָיְתָה תֹהוּ וָבֹהוּ וְחֹשֶךְ עַל־פְּנֵי תְהוֹם וְרוּחַ אֱלֹהִים מְרַחֶפֶת עַל־פְּנֵי הַמָּיִם)1. 원어 분석"וְהָאָרֶץ" (베하아레츠) - "그리고 땅은"1절에서 창조하신 "하늘과 땅" 중 땅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시작합니다.하늘은 언급 없이, 혼돈의 상태인 땅을 강조합니다."הָיְתָה תֹהוּ וָבֹהוּ" (하이타 토후 와 보후) - "혼돈하고 공허하며"토후(תֹהוּ) = 혼돈, 형체 없음, 황폐함.보후(בֹהוּ) = 공허, 빈 상태.이 둘은 짝을 이루어 형체도 ..

카테고리 없음 2025.03.03

창세기 1장 1절

창세기 1장 1절"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히브리어 원문: בְּרֵאשִׁית בָּרָא אֱלֹהִים אֵת הַשָּׁמַיִם וְאֵת הָאָרֶץ)1. 원어 분석"בְּרֵאשִׁית" (브레쉬트) - 태초에"레쉬트(רֵאשִׁית)" 는 "처음", "시작"이라는 뜻입니다.앞에 붙은 "브(בְּ)"는 "~에, ~에서"라는 전치사.그래서 "태초에" = 시간의 시작점, 모든 것의 기원을 의미합니다.즉, 이 구절은 시간, 공간, 물질이 모두 존재하기 이전의 상태에서 하나님께서 시작하셨음을 선언합니다."בָּרָא" (바라) - 창조하시니라"바라"는 히브리어에서 하나님만이 주어로 사용되는 특별한 동사입니다.인간이 만드는 것(아사, 야차르)과 다르게, 무(無)에서 유(有)를 만드는 ..

카테고리 없음 2025.03.03

마태복음 12장 15절

마태복음 12장 15절 (개역개정)"예수께서 아시고 거기를 떠나가시니 많은 사람이 따르니, 예수께서 그들의 병을 다 고치시고."1. 본문 배경이 절은 앞선 14절에서 바리새인들이 예수님을 죽이기로 모의한 사건 바로 뒤에 나옵니다.즉, 바리새인들이 공모를 시작했다는 것을 예수님께서 아셨다는 것에서 시작합니다.즉, 15절은 예수님이 사람들의 음모와 위협을 인식하시고 대응하는 장면입니다.2. 주요 구절 해석"예수께서 아시고"여기서 "아시고"라는 말은 헬라어 "γνούς" (gnoús) 를 사용했는데, 이는 단순히 정보로서 아는 것이 아니라 깊이 인식하고, 깨닫고, 통찰했다는 의미입니다.예수님은 단순히 바리새인들의 계획을 인간적 정보로 들은 것이 아니라, 그들의 마음과 계획을 꿰뚫어보신 것입니다.이는 예수님의 ..

카테고리 없음 2025.03.03

마태복음 12장 14절

마태복음 12장 14절 (개역개정)"바리새인들이 나가서 어떻게 하여 예수를 죽일까 의논하니라."1. 본문 배경과 연결바로 앞 13절에서 예수님께서는 안식일에 손 마른 사람을 고쳐주셨습니다.이 기적은 단순한 병 고침 사건이 아니라, 안식일 규례에 대한 도전으로 여겨졌습니다.당시 유대 사회에서 안식일은 절대적인 계명이었고, 율법학자들과 바리새인들은 안식일에 "일"을 금했기 때문에 병을 고치는 것도 금지된다고 해석했습니다.그런데 예수님은 그들의 법 해석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실제로 병을 고치셨습니다.그 결과가 바로 14절의 내용입니다.바리새인들은 그 사건 이후, 더 이상 예수님을 가만두지 않기로 결정합니다.2. 14절의 의미 분석"바리새인들이 나가서"장소적 상황: 이 표현은 예수님이 병을 고친 그 회당(혹은 ..

카테고리 없음 2025.03.03

마태복음 12장 13절

마태복음 12장 13절은 다음과 같은 말씀입니다(개역개정 기준):"이에 그 사람이 손을 내밀매 다른 손과 같이 회복되어 성하더라."이 구절을 좀 더 자세히 풀어보겠습니다.1. 본문 배경마태복음 12장은 예수님께서 안식일에 관한 논쟁을 다루시는 장면입니다. 당시 유대인 지도자들, 즉 바리새인들은 안식일 규례를 매우 엄격하게 지키면서, 안식일에 노동이나 병 고침 같은 것도 금지한다고 생각했습니다.그런데 예수님께서는 안식일에 회당에 들어가셨고, 그곳에는 손이 마른(오른손 마비로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바리새인들은 예수님을 고소할 기회를 잡으려고 이 사람을 고쳐줄지 지켜보고 있었죠.예수님은 그들에게 이렇게 질문하십니다(12:11-12):"너희 중에 어떤 사람이 양 한 마리가 있어 안..

카테고리 없음 2025.03.03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