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부림절(Purim)

아량아량드롱 2025. 3. 17. 21:22
728x90
반응형
SMALL

부림절(Purim)이란?

부림절(푸림절, Purim, פורים)은 유대교의 중요한 명절 중 하나로, 페르시아 제국에서 유대인들이 학살 위기에서 구원받은 사건을 기념하는 절기입니다. 이 이야기는 구약성경 "에스더서(Esther)" 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1. 부림절의 성경적 배경 (에스더서)

(1) 페르시아 제국과 유대인들

부림절의 사건은 페르시아 제국(기원전 5세기경)을 배경으로 합니다. 당시 페르시아 왕 아하수에로(크세르크세스 1세) 통치하에 많은 유대인들이 디아스포라(흩어진 유대 공동체)로 살고 있었습니다.

(2) 등장인물

  • 아하수에로 왕: 페르시아 제국의 왕으로, 당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군주 중 한 명.
  • 하만(Haman): 왕의 최측근 대신으로, 유대인을 몰살하려는 음모를 꾸민 장본인.
  • 모르드개(Mordecai): 유대인 지도자로, 왕비 에스더의 사촌이자 양아버지.
  • 에스더(Esther): 모르드개의 양녀이자 페르시아 왕비. 유대인 신분을 숨긴 채 왕비가 되어 민족을 구원함.

2. 부림절 사건 개요

(1) 하만의 음모

하만은 유대인 모르드개가 자신에게 절하지 않는 것에 분노하여, 유대인 전체를 몰살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는 왕에게 거짓으로 유대인들을 모함하며, 특정 날짜(아달월 13일)에 유대인들을 모두 학살할 것을 허락받습니다.

(2) 에스더의 용기 있는 행동

모르드개는 에스더에게 왕에게 나아가 유대인들의 목숨을 구해달라고 요청합니다. 당시 왕에게 허락 없이 나아가는 것은 사형에 해당했지만, 에스더는 금식하며 용기를 내어 왕에게 나아갑니다.

(3) 유대인들의 반전과 하만의 몰락

에스더는 왕에게 하만의 음모를 폭로합니다. 이에 왕은 분노하여 하만을 처형하고, 유대인들이 스스로 방어할 수 있도록 칙령을 내립니다. 그 결과 유대인들은 학살에서 벗어나고, 오히려 자신들을 해치려 했던 원수들을 처단하게 됩니다.

(4) 부림절 제정

이 승리를 기념하여 모르드개는 아달월 14일과 15일을 부림절(Purim)로 정하고 해마다 축하할 것을 선포했습니다.


3. 부림절의 의미와 전통

부림절은 유대인들에게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섭리를 보여주는 중요한 명절입니다. 에스더서에는 ‘하나님’이라는 단어가 한 번도 나오지 않지만, 사건 속에서 하나님의 개입과 보호가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1) 부림절의 유래 (이름의 의미)

“부림(Purim)”이라는 이름은 하만이 유대인을 몰살할 날짜를 정하기 위해 사용한 ‘제비(Pur, 푸르)’에서 유래했습니다. 이는 우연처럼 보이는 사건들이 결국 하나님의 섭리 속에서 유대인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했음을 의미합니다.

(2) 부림절 전통

유대인들은 부림절을 다음과 같이 기념합니다.

  1. 에스더서 읽기 (Megillat Esther)
    • 회당에서 에스더서를 큰 소리로 읽으며, 하만의 이름이 나올 때마다 야유하거나 소음을 내어 그의 악행을 기억하지 않도록 합니다.
  2. 축제와 연회
    • 가족과 친구들이 모여 즐겁게 식사를 하며, 특별한 음식(부림절 쿠키 "하만의 귀" 등)을 나눕니다.
  3. 선물 나누기 (Mishloach Manot)
    • 친구와 이웃에게 음식과 선물을 주며 기쁨을 나눕니다.
  4. 가난한 자 돕기 (Matanot La'evyonim)
    • 어려운 사람들에게 기부하며, 공동체 전체가 함께 축복을 나눕니다.
  5. 가면과 변장 (Purim Costume)
    • 에스더가 신분을 숨긴 것처럼, 유대인들은 가면을 쓰거나 변장을 하며 즐겁게 놉니다.

4. 현대 유대교에서의 부림절

오늘날 유대인들은 여전히 부림절을 크게 기념합니다. 특히 이스라엘에서는 전국적으로 축제가 열리며, 거리 퍼레이드와 파티가 열립니다. 정통파 유대인들은 여전히 전통적인 방식으로 에스더서를 읽고 가난한 자를 돕는 데 집중합니다.

부림절은 단순한 기념일이 아니라,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의 구원이 임한다는 믿음과 희망을 상징하는 절기입니다.


결론: 부림절의 교훈

  • 하나님의 섭리는 때로 보이지 않지만, 역사 속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신앙과 용기로 맞서면 구원의 길이 열린다.
  • 공동체의 기쁨과 나눔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약
부림절은 유대인들이 페르시아 제국에서 하만의 음모로부터 구원받은 사건을 기념하는 절기입니다. 에스더와 모르드개의 용기 있는 행동으로 인해 유대 민족은 멸망 위기에서 벗어나게 되었으며, 이를 축하하기 위해 매년 아달월 14일과 15일 부림절을 기념합니다. 오늘날에도 유대인들은 이 날을 기쁘게 보내며, 선물 나누기, 가난한 자 돕기, 에스더서 낭독 등 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