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2025/06/17 10

마태복음 20장 10절

마태복음 20장 10절은 예수님의 "포도원 품꾼의 비유"(마 20:1–16) 중에서 핵심 갈등이 처음으로 드러나는 구절입니다. 이 구절은 인간의 공로 중심 사고방식과 하나님의 은혜 중심 질서가 본격적으로 충돌하는 결정적 장면입니다.마태복음 20장 10절 (개역개정)“먼저 온 자들이 와서 더 받을 줄 알았더니 그들도 한 데나리온씩 받은지라”원어 및 구조 분석먼저 온 자들 (οἱ πρῶτοι)→ 하루의 첫 시간, 곧 이른 아침(6시경)에 포도원에 들어간 사람들입니다.더 받을 줄 알았더니 (ἐνόμισαν ὅτι πλεῖον λήμψονται)→ “πλεῖον”은 ‘더 많은 것’이라는 뜻이고,→ “ἐνόμισαν”은 ‘생각하다, 기대하다, 당연히 여기다’라는 의미로,→ 이들은 자신들이 더 받을 자격이 있다고 ..

카테고리 없음 2025.06.17

마태복음 20장 9절

마태복음 20장 9절은 “포도원 품꾼의 비유”에서 가장 극적인 장면 중 하나로,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은혜의 본질을 드러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배치하신 구절입니다. 이 구절은 그 자체로도 신학적, 인간 심리학적, 윤리적 메시지를 풍부하게 담고 있습니다.마태복음 20장 9절 (개역개정)"제十一시에 온 자들이 와서 한 데나리온씩을 받거늘"원어 분석 및 직역제11시에 온 자들 (οἱ περὶ τὴν ἑνδεκάτην ὥραν ἐλθόντες):→ 하루 노동의 마지막 한 시간만 일한 자들로, 오후 5시경 고용된 사람들을 가리킵니다.받거늘 (ἔλαβον):→ 단순히 받았다는 뜻이지만, 의외성/놀람이 포함된 맥락입니다.한 데나리온씩 (ἀνὰ δηνάριον):→ 하루 전체 품삯에 해당하며, 1시간밖에 일하지 않았음에도..

카테고리 없음 2025.06.17

마태복음 20장 8절

마태복음 20장 8절은 예수님께서 하신 “포도원 품꾼의 비유” 가운데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에 해당하는 구절입니다. 이 구절을 정확히 살펴보고, 그 의미를 신학적, 문맥적, 적용적으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마태복음 20장 8절 (개역개정)"저물매 포도원 주인이 청지기에게 이르되 품꾼들을 불러 나중 온 자로부터 시작하여 먼저 온 자까지 삯을 주라 하니"원문 분석저물매 (ὀψίας δὲ γενομένης):→ 하루 일이 끝날 무렵, 해가 지는 시간으로, 유대인의 하루 노동 시간(보통 오전 6시~오후 6시)이 끝나는 시간대입니다.청지기에게 이르되 (λέγει τῷ ἐπιτρόπῳ αὐτοῦ):→ 주인이 직접 명령을 내리는 장면. 청지기는 재산을 관리하는 관리자입니다.나중 온 자로부터 시작하여 먼저 온 자까지 ..

카테고리 없음 2025.06.17

마태복음 20장 7절

마태복음 20장 7절은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포도원 품꾼의 비유” 가운데 등장하는 구절로, 아래와 같습니다:"그들이 이르되 우리를 품꾼으로 쓰는 이가 없음이니이다 이르되 너희도 포도원에 들어가라 하니라" (개역개정)본문 배경 설명: 마태복음 20장 1–16절이 비유는 천국이 어떠한 곳인지 설명하기 위해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입니다. 어떤 집 주인이 하루 품삯 한 데나리온을 주기로 하고, 아침 일찍 품꾼들을 포도원에 들여보낸 후, 오전 9시, 정오 12시, 오후 3시, 그리고 오후 5시(11시)에도 사람들이 장터에 놀고 있는 것을 보고 그들을 고용합니다. 마지막에 품삯을 줄 때, 가장 늦게 온 사람도 동일한 품삯(한 데나리온)을 받습니다.마태복음 20장 7절의 문맥과 상세 해석“그들이 이르되 우리를 품꾼으로..

카테고리 없음 2025.06.17

마태복음 20장 6절

마태복음 20장 6절을 상세히 해설드리겠습니다. 이 구절은 포도원 품꾼의 비유 중에서도 가장 놀라운 은혜의 정점이자, 인간의 공로주의와 하나님의 은혜 개념이 극명하게 대비되는 장면입니다.마태복음 20장 6절 (개역개정)“제십일시에도 나가 보니 서 있는 사람들이 또 있는지라 이르되 너희는 어찌하여 종일토록 놀고 여기 서 있느냐”1. 구절 구성 해설“제십일시에도 나가 보니”제십일시는 유대 시간으로 오후 5시입니다.하루 노동시간이 통상 오전 6시~오후 6시였기 때문에, 하루가 거의 끝나가는 시점, 단 1시간밖에 남지 않은 시각입니다.그런데도 포도원 주인은 다시 직접 장터에 나가 사람들을 찾습니다.→ 이 모습은 하나님의 은혜가 끝까지 유효함을 보여주는 극적인 표현입니다.“서 있는 사람들이 또 있는지라”아직 일을..

카테고리 없음 2025.06.17

마태복음 20장 5절

마태복음 20장 5절을 상세히 해설드리겠습니다. 이 구절은 포도원 품꾼의 비유에서 시간의 반복성과 주인의 지속적인 부르심을 강조하는 구조적 중심부입니다.마태복음 20장 5절 (개역개정)“제육시와 제구시에 또 나가 그와 같이 하여”1. 구절 구성 해설“제육시와 제구시에”유대 시간 개념에서:제육시 (6시)는 정오(12시)제구시 (9시)는 오후 3시에 해당합니다.이미 이른 아침(제일시, 오전 6시)**과 제삼시(오전 9시)에 품꾼을 고용한 주인이, 정오와 오후에도 계속해서 장터에 나가 사람들을 찾는 모습을 보여줍니다.여기에는 주인의 행동이 계획적인 반복이라기보다 끊임없는 긍휼과 인내의 표현임이 드러납니다.“또 나가”이 표현은 주인이 한두 번이 아니라 계속해서 장터를 직접 찾아다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포도원 주..

카테고리 없음 2025.06.17

마태복음 20장 4절

마태복음 20장 4절을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이 구절은 "포도원 품꾼의 비유"에서 주인이 제삼시에(오전 9시) 만난 사람들에게 직접 한 말로, 하나님의 부르심과 약속이 더욱 명확히 드러나는 부분입니다.마태복음 20장 4절 (개역개정)“너희도 포도원에 들어가라 내가 너희에게 상당하게 주리라 하니 그들이 가니라”1. 구절 구성 해설“너희도 포도원에 들어가라”여기서 "너희도"라는 표현은 이미 고용된 첫 번째 그룹(1절~2절)의 품꾼들과 동일한 자격으로 일하라는 초청입니다.즉, 시간이 다르다고 차별하지 않고, 그들도 포도원에 참여할 자격이 있음을 선언하는 말입니다.“포도원”은 하나님의 나라, 하나님의 사역, 또는 구원의 역사를 상징하는 비유적 공간으로, 예수님은 이 말로 하나님 나라의 일에 동참하라는 부르심..

카테고리 없음 2025.06.17

마태복음 20장 3절

마태복음 20장 3절은 예수님의 "포도원 품꾼의 비유" 중 두 번째 고용 시점에 해당하는 구절로, 이 비유의 핵심적인 흐름을 형성합니다.마태복음 20장 3절 (개역개정)“제삼시에 또 나가 보니 장터에 놀고 서 있는 사람들이 또 있는지라”1. 본문 구성 해설"제삼시에"당시 유대인들의 시간 개념은 일출(보통 오전 6시)을 기준으로 시간 단위를 셌습니다.따라서 ‘제삼시’는 오전 9시에 해당합니다.즉, 주인은 이른 아침(6시경)에 첫 번째 품꾼들을 고용한 후, 약 세 시간 뒤인 오전 9시에 다시 장터에 나간 것입니다."나가 보니 장터에..."장터(ἀγορά, agora)는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장소가 아니라, 사람들이 모여 고용되기를 기다리는 장소로, 당시에 흔히 일용직 노동자들이 서 있던 곳이었습니다.포도원..

카테고리 없음 2025.06.17

마태복음 20장 2절

마태복음 20장 2절은 예수님께서 비유로 말씀하신 포도원 품꾼의 비유 가운데 한 구절입니다. 아래는 개역개정 성경 본문과 함께 이 구절의 해석과 신학적, 문화적 배경을 상세히 설명합니다.마태복음 20장 2절 (개역개정)“그가 하루 한 데나리온씩 품꾼들과 약속하여 포도원에 들여보내고”1. 본문 설명이 구절에서 “그”는 비유 속의 포도원 주인입니다. 이 주인은 아침 일찍 일꾼(품꾼)을 찾아 한 데나리온을 품삯으로 제시하고 자신의 포도원에 보내는 장면입니다.2. "한 데나리온"의 의미데나리온(Denarius)은 당시 로마 제국 시대의 은화로, 노동자의 하루 품삯에 해당하는 보편적인 급여였습니다.일반적으로 하루 12시간(6시~6시) 노동을 기준으로 하며, 이 금액은 정당하고 충분한 보수로 여겨졌습니다.이 품삯은..

카테고리 없음 2025.06.17

마태복음 20장 1절

마태복음 20장 1절은 예수님께서 “천국”이 무엇과 같은지를 설명하시기 위해 들려주신 포도원 품꾼의 비유의 시작 구절입니다. 본문은 다음과 같습니다:마태복음 20:1 (개역개정)"천국은 마치 품꾼을 얻어 포도원에 들여보내려고 이른 아침에 나간 집 주인과 같으니"이 구절은 비유 전체의 서두로, 이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상세히 해석할 수 있습니다.단어와 표현 해설1. "천국은 마치..."예수님은 자주 천국(하늘나라)에 대한 개념을 설명할 때 비유를 사용하셨습니다.여기서 “천국”은 하나님의 나라, 즉 하나님의 통치가 이루어지는 영적 영역을 가리킵니다."마치 ~와 같다"는 표현은 하늘나라의 원리가 이 세상과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며, 청중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 방식입니다.2. "품꾼을 얻어"'품꾼'(그리스어:..

카테고리 없음 2025.06.17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