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마태복음 15장 21절

아량아량드롱 2025. 4. 27. 06:20
728x90
반응형
SMALL

마태복음 15장 21절 말씀

“예수께서 거기서 나가사 두로와 시돈 지방으로 들어가시니”
(개역개정)


말씀의 흐름 이해

  1. "거기서"
    예수님께서 바리새인들과 장로들의 전통에 대한 논쟁(15:1–20) 이후를 의미합니다.
    이들은 사람의 전통을 하나님의 계명보다 앞세웠던 문제로 꾸중받았습니다.
  2. "나가사"
    이 표현은 단순한 이동이 아니라, 의도적이고 중요한 방향 전환을 나타냅니다.
    예수님께서 유대 지역(갈릴리)에서 이방 지역으로 이동하신 것을 가리킵니다.
  3. "두로와 시돈 지방"
    두로(Tyre)와 시돈(Sidon)은 지중해 해안에 있는 이방 도시들입니다.
    현재 레바논 지역에 해당하며, 당시 유대인들이 매우 경계하던 이방인 지역이었습니다.

두로와 시돈 지방에 대한 배경

  • 두로(Tyre): 부유한 항구 도시, 고대 페니키아 문명의 중심지였음
  • 시돈(Sidon): 두로 북쪽에 위치한 항구 도시, 우상 숭배가 심했던 곳

성경에서 두로와 시돈은 종종 교만함심판의 대상으로 언급되었습니다.
예)

  • 이사야 23장: 두로에 대한 심판 예언
  • 에스겔 28장: 두로 왕의 교만을 책망
  • 스가랴 9장: 두로의 몰락 예언

그런데 놀랍게도, 예수님은 일부러 이방인 땅으로 가셨습니다.
이것은 이방인 선교의 씨앗을 뿌리시는 행동이었습니다.


이 장면의 신학적 의미

주제                                  설명

 

경계선 넘어가기 예수님은 유대인 중심 사회를 넘어 이방인에게도 구원의 문을 열기 시작하셨습니다.
종교적 배척을 넘어서기 당시 유대인들은 이방인을 죄인 취급했지만, 예수님은 모든 사람을 위한 구원의 메시지를 가지고 가셨습니다.
참된 메시아 사역 메시아는 단순히 유대 민족만을 위한 존재가 아니라, 모든 민족과 열방을 위한 구원자임을 드러내십니다.
제자 훈련 제자들에게도 이방인에 대한 마음을 넓히도록 가르치시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연결되는 사건

이동 후에 곧바로 가나안 여인(수로보니게 여인)과의 만남이 이어집니다.
(마태복음 15장 22절부터)

  • 이 여인은 이방인이었지만 예수님께 강한 믿음으로 딸의 치유를 간청합니다.
  • 예수님은 처음에는 거절하는 듯 보였지만, 그녀의 끈질긴 믿음을 칭찬하시고 결국 딸을 고쳐주십니다.

"두로와 시돈으로 가심"은 이 여인을 만나기 위한 사전 포석이었던 셈입니다.


묵상 포인트

  • 나는 아직도 내 안에 어떤 신앙적 배타성이나 편견을 가지고 있지 않은가?
  • 예수님처럼, 나도 경계선을 넘어 복음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나아가려는 마음이 있는가?
  • 고난과 외로움 속에서도 하나님은 나를 향해 찾아오시고 계시다는 것을 믿는가?

기도

주님,
우리를 찾아오시기 위해 경계를 넘으신 사랑을 찬양합니다.
나 또한, 편견을 넘어 사랑을 전하는 자가 되게 하소서.
복음을 거부하는 이방의 땅, 차가운 심령에도 주님 사랑의 빛을 들고 가는 사명자가 되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