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휴거(Rapture)

아량아량드롱 2025. 6. 29. 19:46
728x90
반응형
SMALL

"휴거(Rapture)"는 기독교의 종말론적 개념 중 하나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실 때 믿는 자들이 하늘로 들려 올라가 그분을 공중에서 맞이하게 되는 사건을 말합니다. 주로 신약성경 데살로니가전서 4장 16-17절고린도전서 15장 51-52절 등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영어로는 "Rapture", 헬라어 원문에서는 "ἁρπάζω(harpazō)"로 번역됩니다. 이 단어는 “갑자기, 강하게 낚아채다”라는 의미입니다.


성경적 근거

데살로니가전서 4:16-17

“주께서 호령과 천사장의 소리와 하나님의 나팔 소리로 친히 하늘로부터 강림하시리니, 그리스도 안에서 죽은 자들이 먼저 일어나고, 그 후에 우리 살아 남은 자들도 그들과 함께 구름 속으로 끌어올려 공중에서 주를 영접하게 하시리니…”

이 구절은 “살아 있는 성도들이 공중으로 들려 올라가 주님을 영접하게 된다”는 휴거의 핵심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휴거의 주요 개념

요소     설명

 

정의 예수 재림 시, 살아 있는 신자들이 몸이 변화되어 공중으로 들림 받는 사건
형태 "갑작스럽고, 눈 깜짝할 사이에" 일어나는 초자연적 사건
대상 진실한 신자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거듭난 자)
목적 환난 이전 혹은 도중 혹은 이후에 신자들을 하나님의 심판으로부터 보호하시려는 하나님의 구원 계획
 

휴거에 대한 다양한 해석 (종말론적 입장)

입장                                           설명

 

환난 전 휴거 (Pre-Tribulation) 7년 대환난 전에 신자들이 먼저 들림 받아 환난을 면함. 많은 복음주의 교회가 선호.
환난 중 휴거 (Mid-Tribulation) 7년 대환난 중간인 3년 반 시점에서 휴거가 일어남.
환난 후 휴거 (Post-Tribulation) 대환난 끝에 예수 재림과 함께 동시에 휴거가 일어남. 역사적 세대주의자들이 채택.
부분 휴거설 신실한 성도들만 선택적으로 휴거되고 나머지는 남겨진다는 입장.
무휴거설 / 상징적 해석 휴거는 문자적 사건이 아니라 상징적, 영적인 표현으로 해석함. 주로 자유주의 신학에서 채택.
 

고린도전서 15:51-52 – 변화의 신비

“보라 내가 너희에게 비밀을 말하노니 우리가 다 잠잘 것이 아니요 마지막 나팔에 순식간에 호련히 다 변화되리니…”

이 구절은 신자들이 죽음을 겪지 않고 "순식간에" 변화되어 부활체로 바뀌는 사건으로 휴거를 묘사합니다.


휴거 이후 남겨진 자들

휴거 이후 이 땅에 남겨진 자들은 7년 환난을 겪게 된다고 여겨집니다. 이 시기는 “적그리스도”, “666”, “징조와 재앙” 등으로 특징지어지며, 이는 요한계시록과 다니엘서 등에 언급됩니다. 환난 중 회개하여 구원받는 자도 있지만, 극심한 박해와 재앙을 겪게 됩니다.


관련 구절 정리

구절                                                  요점

 

데살로니가전서 4:16-17 죽은 자의 부활과 살아 있는 자의 공중휴거
고린도전서 15:51-52 마지막 나팔과 함께 신자들의 변화
요한복음 14:1-3 예수께서 우리를 위하여 처소를 예비하신 후 오심
마태복음 24:36-44 도둑같이 임하는 주의 날 – 깨어 있으라
누가복음 17:34-36 두 사람이 함께 있으나 한 사람은 데려가고, 한 사람은 버려둠
 

휴거가 주는 메시지

  1. 경건한 삶의 중요성: 휴거는 단지 흥미로운 사건이 아니라 신자의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기준입니다.
  2. 깨어 있음과 준비: 예수님의 말씀처럼 "그 날과 그 때는 아무도 모르나니" (마 24:36) 늘 준비된 삶이 요구됩니다.
  3. 위로와 소망: 환난과 죽음의 두려움 속에서 믿는 자에게는 휴거는 구원의 보장입니다.

결론

휴거는 신자에게 주어진 미래의 소망이자 현실의 경고입니다. 그것은 단지 “도피”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과 심판이라는 거대한 구속사의 클라이맥스를 향한 하나님의 구원 계획의 일부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