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삼위일체 내의 관계성은 기독교 신학의 가장 심오하면서도 중요한 교리 중 하나입니다. 이 교리는 성부(父), 성자(子), 성령(靈) 세 위격이 본질은 하나이지만 관계와 사역에서는 구별된다는 진리를 말합니다.
핵심 정의
삼위일체란: 하나님은 한 분이시며, 그 안에 세 위격(성부, 성자, 성령)이 영원히 존재하시고, 본질은 동일하나 인격과 관계는 구별되신다.
삼위 간의 관계성 요약
구분 성부 성자 성령
존재적 관계 | 시작되지 않은 근원 | 성부에게서 나심 (출생됨, γεννηθέντα) | 성부와 성자로부터 나오심 (발출됨, ἐκπορευόμενον) |
역할적 관계 | 계획자, 명령자 | 순종자, 성취자 | 적용자, 내적 변화자 |
사랑의 관계 | 사랑하시는 분 | 사랑받고 응답하는 분 | 사랑의 영, 친교의 영 |
대표 성경 | 요 3:16, 요 5:19 | 빌 2:6–11 | 요 14:26, 고후 13:13 |
1. 본질은 하나, 위격은 셋
- 세 위격(페르소나, hypostasis)는 각각 의식과 인격을 가지신 하나님이시며,
- 그러나 세 하나님이 아니라, 한 하나님입니다.
신명기 6:4
“이스라엘아 들으라. 여호와는 오직 유일한 여호와시니”
- 성부는 성자가 아니고, 성자는 성령이 아니지만,
모두 하나님의 본질(essence)을 공유합니다.
2. 내재적 삼위일체 vs 경륜적 삼위일체
개념 설명 예시
내재적 삼위일체 (Immanent Trinity) | 하나님의 본질 안에서의 삼위 관계 | 성부는 성자의 근원이시며, 성령은 성부와 성자로부터 나심 |
경륜적 삼위일체 (Economic Trinity) | 구속사 속에서 드러나는 삼위의 역할 | 성부는 계획하시고, 성자는 구속을 이루며, 성령은 그 구속을 적용 |
고린도전서 12:4–6
“은사는 같되 성령은 같고... 직임은 같되 주는 같으며... 역사는 같되 하나님은 같으니”
3. 위격 간의 ‘관계성’ (Relations of Origin)
성자: 성부에게서 "나심"
- 성자는 영원히 성부에게서 나심 (begetting, "γεννηθέντα")
- 이는 시간 속에서가 아니라, 영원한 관계입니다
요한복음 1:14 “독생자” (μονογενής)
성령: 성부와 성자에게서 "나오심"
- 성령은 성부로부터, 그리고 성자를 통해 발출되심
요 15:26 “내가 아버지께로부터 너희에게 보낼 보혜사… 아버지께로부터 나오시는 성령”
4. 사랑과 순종의 질서
삼위 간의 관계는 서열이 아닌, 사랑과 순종의 질서입니다.
관계 설명 성경
성부 → 성자 | 성부는 성자를 보내심 | 요 3:17, 요 5:30 |
성자 → 성부 | 성자는 성부께 순종 | 빌 2:6–8 |
성부·성자 → 성령 | 성령은 보내심을 받음 | 요 14:26, 15:26 |
성령 → 성자·성부 | 성령은 그들을 영화롭게 함 | 요 16:14 |
이는 "권위-복종" 구조가 아니라,
완전한 상호사랑과 일치 안에서의 기능적 구별입니다.
5. 삼위 간의 영원한 교제 (Perichoresis)
페리코레시스 (Perichoresis): 삼위가 서로를 내주하고 충만히 포함하며,
끊임없는 사랑과 친교 속에 계시는 상태.
- 한 위격이 다른 위격 안에 거하시며,
각 위격의 행동은 다른 위격과 함께 일어남 (inseparable operations)
요 14:10
“내가 아버지 안에 있고 아버지는 내 안에 계신 것을 믿지 아니하느냐?”
그림 비유
[성부] ↑ ↘ ↙↑[성령] ← [성자] - 사랑이 흐르고, 사역이 확장됨 - 중심은 동일한 하나님의 본질
역사적 교회 신조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 381년)
“우리는 한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나니, 하나님의 독생자시요...
성부에게서 나시고...
성령은 주시며 생명을 주시는 이시니, 성부와 성자에게서 나오시고…”
→ 삼위는 본질은 하나이며, 출처(Origin)와 사역에서만 구별됩니다.
실천적 적용
교리 의미 신앙적 적용
삼위는 하나 | 혼란 없이 한 하나님께 예배 | 혼합주의나 이단 배척 |
삼위는 구별 | 각 위격과 인격적 관계 가능 | 성자께 기도, 성령의 인도 받음 |
사랑의 교제 | 삼위 간 사랑이 인간에게 확장 | 교회 공동체는 삼위일체적 본을 따라 사랑과 연합을 이루어야 함 |
결론 정리
구분 내용
본질 | 한 하나님 (하나의 신적 본질) |
위격 | 셋: 성부, 성자, 성령 |
관계 | 성자는 나심, 성령은 나오심 |
질서 | 성부 → 성자 → 성령 (구속사적 질서) |
사랑 | 서로를 영원히 내주하고 영화롭게 함 |
적용 | 교회와 성도의 삶에 삼위 하나님의 성품이 나타나야 함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