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창세기 5장 1절

아량아량드롱 2025. 5. 31. 13:33
728x90
반응형
SMALL

창세기 5장 1절은 족보의 시작을 알리는 구절이자, 창조와 인간의 본질, 그리고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신학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매우 중요한 말씀입니다. 이 절은 단순히 계보의 도입부 이상으로, 인간 존재의 본래 목적과 정체성, 그리고 죄로 인해 훼손된 하나님의 형상이 어떻게 회복될 수 있는지를 암시합니다.


창세기 5장 1절 (개역개정)

“이것은 아담의 계보 책이라.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실 때에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으시되”


구절 구조와 원어적 이해

“이것은 아담의 계보 책이라”

  • 히브리어 원문: “זֶה סֵפֶר תּוֹלְדֹת אָדָם” (Zeh sefer toledot adam)
    • “세페르”(ספר): 책, 기록 (written account)
    • “톨레도트”(תּוֹלְדוֹת): 후손, 족보, 발생의 역사
  • 이는 창세기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족보 단위(toledot formula)의 첫 예이며, 이후 족보(창 10:1, 11:10, 25:12 등) 구성의 표본이 됩니다.

이 표현은 하나님의 구속 역사 가운데 인간의 족보를 구조화하고, 아담에서 메시아까지 이어지는 계보의 출발점이라는 신학적 구조를 드러냅니다.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실 때에”

  • 여기서 “사람”은 아담(אָדָם)으로, 특정 개인 ‘아담’을 뜻하면서 동시에 전 인류를 대표하는 의미도 포함합니다.
  • 창조 시점을 언급함으로써 이 족보가 단순한 혈통의 나열이 아니라, 창조 목적과 연결된 신학적 계보임을 나타냅니다.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으시되”

  • 이 부분은 창세기 1장 26~27절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절입니다.
  • “하나님의 형상”(צֶלֶם אֱלֹהִים, tzelem Elohim)이란:
    • 하나님의 성품을 반영할 수 있는 존재로서의 인간
    • 도덕성, 자율성, 창조성, 영성, 관계성 등을 포함하는 특성
    • 하나님의 대리 통치자적 역할, 즉 피조 세계를 돌보고 다스릴 사명을 가진 존재

죄로 인해 하나님의 형상이 훼손되었지만, 이 계보를 통해 이어지는 후손(특히 예수 그리스도)을 통해 그 형상이 회복될 것임을 암시합니다.


신학적 의미

1. 족보의 시작: 아담 → 인류의 흐름

  • 단순한 생물학적 계보가 아니라, 신앙의 계보, 언약의 계보로서의 성격을 가집니다.
  • 이는 예수님의 계보(누가복음 3장 38절)에까지 연결되며, “두 번째 아담”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의 형상이 회복됩니다.

2. 하나님의 형상 강조: 회복의 열쇠

  • 이 구절은 인류가 죄로 인해 타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창조 본래의 정체성은 여전히 의미가 있다는 희망을 줍니다.
  • 이 형상은 성경 전체에서 그리스도를 통해 회복될 인간의 모습으로 연결됩니다.
    예) 골로새서 3:10 – “새 사람을 입었으니 이는 자기를 창조하신 이의 형상을 따라 지식에까지 새롭게 하심을 입은 자니라”

요약 정리

항목                              내용

 

장르 족보 서사의 서문
주요 인물 아담 (전 인류의 대표자)
핵심 메시지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다
신학적 주제 하나님의 창조 질서, 인간의 존엄성, 형상의 회복 가능성
연결구절 창 1:26–27, 눅 3:38, 골 3:10
 

묵상 포인트

  1. 나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존재로서 그 정체성을 인식하고 살아가고 있는가?
  2. 오늘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형상이 얼마나 드러나고 있는가?
  3. 나의 가정과 후손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경건한 계보’를 잇고 있는가?

다음 구절 연결: 창세기 5장 2절

다음 절에서는 하나님이 사람을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셨으며, 그들에게 복을 주시고 이름을 지어주신 것이 언급됩니다. 이는 인간 존재의 관계성존엄성, 그리고 축복의 본질을 설명하는 핵심 구절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