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회막(會幕, Tabernacle)은 구약성경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하나님을 예배하기 위해 사용한 이동식 성소입니다.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직접 설계도를 주셨으며(출애굽기 25장~31장), 이후 이스라엘 백성이 이를 제작하여 광야 생활 동안 사용하였습니다.
1. 회막의 의미와 목적
회막은 히브리어로 미쉬칸(מִשְׁכָּן, Mishkan)이라고 불리며, "거처" 혹은 "거하는 곳"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 임재하시고 그들과 함께하심을 상징합니다. 회막은 언약궤(법궤)가 있는 지성소를 중심으로 하나님과 백성이 만나는 장소이자, 제사와 속죄가 이루어지는 곳이었습니다.
2. 회막의 구조
회막은 크게 성소(聖所)와 지성소(至聖所)로 구성되었으며, 그 주변에는 뜰(성막 마당)이 있었습니다.
① 성막 마당 (Outer Court)
- 회막을 둘러싼 넓은 공간으로, 세마포(흰색 가는 베)로 만든 울타리(높이 약 2.3m, 길이 45m, 너비 22.5m)로 둘러싸여 있었습니다.
- 주요 기구:
- 번제단(노쇠로 만들어진 제단, 희생 제사를 드리는 곳)
- 물두멍(제사장들이 손과 발을 씻는 청동 세정대)
② 성소 (Holy Place)
- 성막의 첫 번째 공간으로, 제사장들만 출입 가능했습니다.
- 주요 기구:
- 등잔대(금촛대, Menorah): 순금으로 만든 일곱 개의 등불로, 하나님의 빛을 상징.
- 떡상(진설병 상, Table of Showbread): 열두 개의 떡을 올려놓는 상으로, 하나님과의 교제를 상징.
- 분향단(금으로 만든 향단): 제사장이 향을 피워 하나님께 기도를 드리는 곳.
③ 지성소 (Holy of Holies)
- 성소 안쪽에 위치한 가장 거룩한 공간으로, 대제사장만 1년에 한 번(속죄일, Yom Kippur)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 언약궤(법궤, Ark of the Covenant)가 보관된 곳으로, 언약궤 위에는 속죄소(시은좌, Mercy Seat)와 그룹 천사가 조각되어 있었습니다.
- 하나님의 임재가 구름의 형태로 나타남(쉐키나 영광, Shekinah Glory).
3. 회막의 이동과 기능
- 회막은 광야 생활 동안 이동식 성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레위인(제사장들)이 담당하여 조립과 해체, 운반을 맡았고, 행진할 때는 특정 순서대로 이동했습니다.
- 가나안 정착 후 솔로몬 성전(예루살렘 성전)이 세워지면서 회막의 역할이 종료되었습니다.
4. 회막의 신학적 의미
- 하나님의 임재 상징: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과 함께하신다는 약속.
-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 요한복음 1:14에서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라는 표현은 "거하시매"가 "장막을 치다"(헬라어: σκηνόω, skēnoō)라는 뜻으로, 예수님이 회막과 같은 역할을 한다는 의미.
- 속죄와 구원의 개념: 희생 제사를 통한 속죄 개념은 신약의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희생을 예표함.
회막은 단순한 장막이 아니라, 하나님과 인간이 만나는 장소이며, 예배와 속죄의 중심이었습니다. 이 개념은 신약에서 성전과 예수님을 통해 완성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