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헤미아의 성벽 재건은 예루살렘 성벽이 무너진 후, 느헤미아가 하나님의 뜻을 따라 이 성벽을 재건한 이야기를 다룬 성경의 주요 사건입니다. 이 이야기는 느헤미아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스라엘 백성의 회복과 하나님의 구속 역사의 중요한 순간을 상징합니다. 성벽 재건의 완성은 단순한 물리적 구조물의 재건이 아니라, 이스라엘 공동체의 신앙적 재건과 결속을 의미하는 중요한 사건입니다.
배경
느헤미아는 페르시아 왕 아닥사스다의 궁정에서 왕의 술 맡은 관원으로 일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조상들이 살던 예루살렘의 황폐한 상태를 보고 큰 슬픔을 느꼈습니다. 성벽이 무너지고, 예루살렘의 성문들이 불타면서 예루살렘은 수치와 혼란에 빠져 있었습니다. 느헤미아는 예루살렘의 성벽을 재건하려는 강한 열망을 가지고 하나님께 기도하며 그분의 뜻을 구했습니다.
1. 느헤미아의 기도와 왕의 허락
느헤미아는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임을 확신하고, 이 일을 위해 금식하며 기도했습니다. 그의 기도는 느헤미아서 1장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느헤미아가 하나님 앞에서 자신의 죄와 이스라엘 백성의 죄를 자백하고, 하나님의 자비를 구하는 기도였습니다.
페르시아 왕 아닥사스다는 느헤미아의 슬픔을 보고 이유를 물었고, 느헤미아는 예루살렘의 상태를 설명하며 성벽을 재건할 수 있도록 허락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로 왕은 느헤미아의 요청을 허락하고, 그에게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성벽을 재건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원과 보호를 제공했습니다.
2. 성벽 재건 계획과 작업 시작
예루살렘에 도착한 느헤미아는 먼저 성벽의 상태를 철저히 조사했습니다. 그는 아무에게도 자신의 계획을 알리지 않고, 밤에 혼자 성벽을 돌아보며 상황을 파악했습니다. 이후 그는 백성들에게 성벽 재건의 필요성과 하나님의 도우심을 설명하며, 재건 작업을 시작하도록 동기를 부여했습니다. 느헤미아의 지도력 아래 이스라엘 백성들은 성벽 재건 작업에 하나가 되어 참여했습니다.
3. 외부의 방해와 대처
성벽 재건 과정에서 여러 외부 세력들의 강한 반대와 방해가 있었습니다. 특히 산발랏, 도비야, 게셈 등의 이방인 지도자들이 성벽 재건을 방해하며, 유다 백성들을 위협했습니다. 이들은 처음에는 느헤미아와 백성들을 조롱하고 경멸했으며, 이후에는 군사적 공격을 위협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느헤미아는 이 방해에도 굴하지 않고 기도와 경계를 병행했습니다. 그는 백성들에게 무기를 준비하게 하여 방어 태세를 갖추도록 했고, 동시에 계속해서 성벽을 쌓는 작업을 이어갔습니다. 백성들은 한 손에는 무기를 들고, 다른 손으로는 성벽을 재건하며 경계와 일을 동시에 수행했습니다.
4. 내부 문제 해결
외부의 방해뿐만 아니라, 느헤미아는 성벽 재건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발생한 문제도 해결해야 했습니다. 재건 작업이 진행되면서 백성들 사이에 경제적 어려움이 생겨났고, 일부 부유한 사람들이 가난한 자들을 착취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느헤미아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부자들이 가난한 형제들에게 진 빚을 탕감하고, 백성들 사이의 불의를 바로잡도록 명령했습니다. 그는 백성들 간의 단결을 회복시키며,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공의로운 공동체를 형성하도록 했습니다.
5. 성벽 재건의 완성
느헤미아의 지도력 아래 예루살렘 성벽은 놀랍게도 52일 만에 완성되었습니다. 이는 느헤미아와 백성들이 하나님께서 그들과 함께하신다는 확신을 가지고 열심히 일한 결과였으며, 하나님의 은혜와 도우심으로 이루어진 일이었습니다. 느헤미아서 6장 15-16절에서 성벽이 완성된 날과 그로 인해 적들이 두려워하고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성벽 재건의 성공은 하나님의 능력과 보호하심을 입증한 사건이었습니다.
6. 영적 회복과 율법의 회복
성벽 재건이 완료된 후, 느헤미아는 백성들의 영적 회복에 힘썼습니다. 그는 에스라와 함께 백성들에게 율법을 읽고 가르쳤으며,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율법을 따라 살 것을 다짐하게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백성들은 자신들의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며 새롭게 결단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특히, 느헤미아서 8장에서는 에스라가 율법서를 낭독하고, 백성들이 율법을 들으면서 울며 회개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는 단순한 성벽 재건이 아니라, 신앙의 재건과 공동체의 회복을 상징하는 사건이었습니다.
7. 느헤미아의 지도력
느헤미아는 단순히 성벽을 재건한 지도자일 뿐만 아니라, 영적 지도자로서 이스라엘 공동체의 영적, 도덕적, 사회적 재건을 이끌었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뜻을 따르며, 기도와 지혜로 외부의 방해와 내부의 문제를 극복했습니다. 또한, 백성들의 단결을 이끌어내고, 그들이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살도록 권면했습니다.
결론
느헤미아의 성벽 재건 완성은 단순한 물리적 성벽의 재건을 넘어, 이스라엘 공동체의 영적 회복과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신앙적 갱신을 의미하는 중요한 사건입니다. 이 사건을 통해 하나님의 보호와 인도하심이 이스라엘 백성에게 임했으며, 그들의 신앙과 공동체가 다시 세워졌습니다. 느헤미아의 성벽 재건 이야기는 믿음과 헌신, 기도와 인내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하나님께서 그분의 백성을 돌보시고 인도하신다는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