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느헤미야 3장

아량아량드롱 2024. 8. 27. 06:09
728x90
반응형
SMALL

느헤미야 3장은 예루살렘 성벽 재건 작업의 실제 진행 상황을 기록한 장입니다. 이 장에서는 느헤미야의 지도 아래 성벽을 건축한 다양한 사람들의 이름과 그들이 담당했던 성벽의 각 부분이 구체적으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성벽 재건은 예루살렘 백성 전체가 참여한 중요한 공동 작업이었으며,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힘을 합쳐 도시의 방어력을 회복하고자 했습니다.

1. 대제사장 엘리아십과 제사장들의 시작 (느헤미야 3:1)

느헤미야 3장은 대제사장 엘리아십이 성벽 재건 작업을 시작하는 모습으로 시작됩니다. 엘리아십과 그의 형제 제사장들은 성벽의 양문을 건축했습니다. 양문은 성전과 가까운 문으로, 제사장들이 성전 예배에 사용할 양과 소를 들여오는 문이었습니다.

  • 양문 건축: 제사장들은 양문을 세우고 성별합니다. 이는 이 작업이 단순한 건축이 아닌, 종교적이고 거룩한 목적을 가진 일임을 상징합니다. 양문은 성벽 재건의 중요한 시작점으로서, 성전과 성벽이 하나님의 보호 아래 다시 세워짐을 의미합니다.

2. 각 계층의 참여와 다양한 문 및 성벽 구역 (느헤미야 3:2-12)

느헤미야서 3장에는 성벽의 여러 부분을 맡아 건축한 사람들이 세세하게 나열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다양한 직업과 계층을 대표하는 사람들이었으며, 각기 다른 문과 성벽 구역을 재건했습니다.

  • 다양한 사람들의 참여: 이 장에서는 제사장들뿐만 아니라 평민들, 귀족들, 금세공업자, 향료 제조업자, 상인들까지도 성벽 재건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들은 각자 맡은 바를 성실하게 수행했습니다.
    • 예를 들어, 여리고 사람들은 엘리아십이 건축한 양문 옆의 성벽을 건축했고, 학고스의 손자 므레못도 성벽의 일부분을 건축했습니다.
  • 문들: 예루살렘 성벽에는 여러 문이 있었으며, 이 문들은 각각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문들로는 물고기문, 옛 문, 골짜기문, 분문, 샘문 등이 있었습니다.
    • 예를 들어, 물고기문은 물고기들이 성문을 통해 성으로 들어왔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주로 어부들이 사용했던 문입니다. 이 문은 골짜기문 다음으로 중요한 성벽의 일부분으로, 큰 상업적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 지도자들의 참여: 특히 눈에 띄는 점은 지도자들, 즉 각 구역의 통치자들도 성벽 재건에 참여했다는 것입니다. 예루살렘 주변 지역의 여러 통치자들이 성벽의 특정 부분을 맡아 건축했습니다. 예를 들어, 므세삽의 아들 요아다브소디야의 아들 므술람은 옛 문을 고쳤고, 바아나의 아들 여다야는 성벽의 부분을 맡아 건축했습니다.
    • 이처럼 성벽 재건 작업은 특정 계층이나 직업군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공동체 전체가 참여한 대규모 프로젝트였습니다.

3. 귀족들의 비협조 (느헤미야 3:5)

흥미롭게도, 이 장에서는 성벽 재건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언급됩니다. 드고아 사람들이 성벽의 한 구역을 재건했지만, 그들의 귀족들은 이 작업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주의 일에 목을 들이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귀족들이 성벽 재건에 비협조적이었음을 의미합니다.

  • 교훈적 요소: 이 언급은 성벽 재건에 모든 사람이 동참한 것은 아니며, 일부는 거부하거나 참여를 꺼렸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공동체 내에서도 다양한 태도와 반응이 있었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

4. 여러 구역의 성벽과 문 재건 작업 (느헤미야 3:13-32)

느헤미야서 3장의 대부분은 성벽의 여러 구역과 문들이 어떻게 재건되었는지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이 설명을 통해 예루살렘 성벽 전체가 재건된 과정을 시각적으로 상상할 수 있습니다.

  • 골짜기문: 골짜기문은 하눈사노아 주민들이 맡아 재건했으며, 그들은 문뿐만 아니라 성벽의 1,000 규빗 길이도 함께 건축했습니다. 이는 이들이 상당히 많은 구역을 담당했음을 보여줍니다.
  • 분문: 분문은 레갑의 아들 말기야가 맡아 재건했습니다. 이 문은 특별히 성벽 남쪽에 위치한 분뇨를 처리하는 문이었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기피할 수 있는 구역이었습니다. 그러나 말기야는 이 문을 기꺼이 재건했습니다.
  • 샘문: 샘문은 콜호세의 아들 살룸과 그의 딸들이 맡아 재건했습니다. 흥미롭게도 여기에는 여성들이 성벽 재건에 참여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어, 모든 성별이 함께 일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5. 재건 작업의 성격과 의의

이 장에서 묘사된 성벽 재건 작업은 단순한 건축 작업이 아니라 신앙적 회복과 공동체의 재건을 상징합니다. 성벽은 단순히 물리적인 방어 시설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인 이스라엘의 영적 상태와 신앙을 상징하는 요소였습니다. 성벽의 재건은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로 돌아가고, 하나님의 보호 아래에서 다시 설 수 있는 중요한 사건이었습니다.

  • 공동체의 통합: 성벽 재건 작업은 모든 백성들이 협력하여 공동체를 회복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다양한 직업과 계층의 사람들이 각기 다른 역할을 맡아 협력함으로써, 예루살렘 성벽 전체를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공동체의 통합과 협력이 이루어졌음을 상징합니다.
  • 영적 중요성: 느헤미야서 3장은 단순한 역사적 기록이 아니라, 영적 의미를 내포한 이야기입니다. 성벽 재건은 하나님께 대한 신뢰와 순종의 표현이었으며, 백성들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며 공동체를 회복하려는 노력을 상징합니다.

요약

느헤미야 3장은 예루살렘 성벽 재건 작업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입니다. 다양한 계층과 직업군의 사람들이 성벽의 여러 부분을 맡아 건축했으며, 이 과정에서 지도자들과 평민들, 심지어 여성들까지도 참여했습니다. 이 장은 공동체가 협력하여 신앙과 방어력을 회복하려는 모습을 보여주며, 성벽 재건이 단순한 건축 작업이 아닌 하나님의 보호 아래에서 공동체의 영적 회복을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임을 강조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