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열왕기하 15장

아량아량드롱 2024. 8. 12. 22:12
728x90
반응형
SMALL

열왕기하 15장 상세 설명

열왕기하 15장은 유다와 이스라엘에 대한 연속된 왕들의 통치 기록과 그들이 하나님 앞에서 어떻게 행하였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장에서는 여러 왕들이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교체되며, 각 왕들의 특징적인 행적과 그들의 치세 기간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세부 내용

1. 아사랴(웃시야) 왕의 통치 (1-7절)

  • 아사랴의 즉위: 이스라엘의 여로보암 왕 제27년에 아마샤의 아들 아사랴가 유다의 왕이 됩니다. 그는 16세에 왕이 되었고, 예루살렘에서 52년 동안 통치하였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여골리야입니다.
  • 아사랴의 행적: 아사랴는 그의 아버지 아마샤처럼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였으나, 산당을 제거하지 않았습니다. 백성들은 여전히 산당에서 제사를 드리고 분향했습니다.
  • 문둥병에 걸림: 여호와께서 아사랴에게 문둥병을 내리셨습니다. 그는 죽는 날까지 문둥병자로 살며 별도의 집에서 거주하였고, 왕자 요담이 그의 집을 다스리고 백성을 재판했습니다.
  • 아사랴의 죽음: 아사랴는 죽어 다윗 성에 있는 그의 조상들과 함께 장사되었고, 그의 아들 요담이 뒤를 이어 왕이 되었습니다.

2. 스가랴 왕의 통치 (8-12절)

  • 스가랴의 즉위: 유다의 아사랴 왕 제38년에 여로보암의 아들 스가랴가 사마리아에서 이스라엘의 왕이 됩니다. 그는 6개월 동안 통치하였습니다.
  • 스가랴의 행적: 스가랴는 그의 조상들이 행한 것처럼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으며,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나지 않았습니다. 이로써 하나님께서 예후에게 "네 자손이 이스라엘 왕위를 이어 네 대까지 이르게 하겠다"라고 하신 말씀이 이루어졌습니다.
  • 스가랴의 죽음: 야베스의 아들 살룸이 음모를 꾸며 스가랴를 죽이고, 그를 대신하여 왕이 되었습니다.

3. 살룸 왕의 통치 (13-16절)

  • 살룸의 즉위: 유다의 웃시야 왕 제39년에 살룸이 왕이 되어 사마리아에서 한 달 동안 통치했습니다.
  • 살룸의 죽음: 가디의 아들 므나헴이 디르사에서 사마리아로 올라가서 살룸을 쳐서 죽이고, 그를 대신하여 왕이 되었습니다.
  • 므나헴의 악행: 므나헴은 답사에서 심한 폭행을 가하며 성읍을 점령하였습니다. 그는 자신에게 항복하지 않은 성읍의 모든 사람들을 살해하였습니다.

4. 므나헴 왕의 통치 (17-22절)

  • 므나헴의 즉위: 유다의 아사랴 왕 제39년에 므나헴이 이스라엘의 왕이 되었습니다. 그는 10년 동안 사마리아에서 통치하였습니다.
  • 므나헴의 행적: 므나헴은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고,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나지 않았습니다.
  • 앗수르 왕 불의 침략: 앗수르 왕 불이 이스라엘을 침략하였습니다. 므나헴은 불에게 은 1,000달란트를 주어 그를 물리쳤습니다. 그는 이스라엘의 부자들에게 은을 걷어 앗수르 왕에게 주었습니다. 앗수르는 이스라엘에서 떠났습니다.
  • 므나헴의 죽음: 므나헴은 그의 조상들과 함께 잠들었고, 그의 아들 브가히야가 뒤를 이어 왕이 되었습니다.

5. 브가히야 왕의 통치 (23-26절)

  • 브가히야의 즉위: 유다의 아사랴 왕 제50년에 므나헴의 아들 브가히야가 사마리아에서 이스라엘의 왕이 되어 2년 동안 통치하였습니다.
  • 브가히야의 행적: 브가히야는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고,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나지 않았습니다.
  • 브가히야의 죽음: 브가히야의 군대 장관인 레마랴의 아들 베가가 반란을 일으켜 사마리아의 궁궐에서 브가히야와 그 집안 사람들을 죽이고 그를 대신하여 왕이 되었습니다.

6. 베가 왕의 통치 (27-31절)

  • 베가의 즉위: 유다의 아사랴 왕 제52년에 베가가 이스라엘의 왕이 되어 20년 동안 통치하였습니다.
  • 베가의 행적: 베가는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고,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나지 않았습니다.
  • 앗수르 왕 디글랏빌레셀의 침략: 앗수르 왕 디글랏빌레셀이 이스라엘 땅을 침략하여 여러 지역을 점령하고 많은 사람들을 사로잡아 앗수르로 이주시켰습니다.
  • 베가의 죽음: 엘라의 아들 호세아가 음모를 꾸며 베가를 죽이고 그를 대신하여 왕이 되었습니다.

7. 요담 왕의 통치 (32-38절)

  • 요담의 즉위: 이스라엘의 베가 왕 제2년에 웃시야의 아들 요담이 유다의 왕이 됩니다. 그는 25세에 왕이 되어 예루살렘에서 16년 동안 통치하였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사독의 딸 여루사입니다.
  • 요담의 행적: 요담은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였으나, 산당을 제거하지 않았습니다. 백성들은 여전히 산당에서 제사를 드리고 분향했습니다.
  • 요담의 업적: 요담은 여호와의 전의 윗문을 건축하였습니다.
  • 요담의 죽음: 요담은 그의 조상들과 함께 잠들어 다윗 성에 장사되었고, 그의 아들 아하스가 뒤를 이어 왕이 되었습니다.

의미와 교훈

  1. 하나님의 심판과 인내: 이 장에서 여러 왕들의 통치 기간 중 하나님의 심판과 경고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아사랴 왕의 문둥병과 앗수르의 침략은 이스라엘과 유다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보여줍니다.
  2. 왕들의 행적과 영향: 이 장에 등장하는 여러 왕들의 행적은 각 왕의 통치 방식과 그에 따른 백성들의 삶에 대한 영향력을 보여줍니다. 왕들의 선행과 악행은 모두 이스라엘과 유다의 역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교만과 권력의 부패: 살룸, 므나헴, 브가히야, 베가, 그리고 호세아의 반란과 살해는 권력의 부패와 교만이 얼마나 위험한지 보여줍니다. 왕들의 이러한 행위는 하나님의 명령과 계획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4. 백성들의 우상숭배: 유다와 이스라엘 백성들이 산당에서 우상을 숭배하며 제사를 드리는 모습은 하나님을 멀리하는 행위를 상징합니다. 이는 왕들의 책임이기도 하며, 백성들의 죄악된 모습을 보여줍니다.

결론

열왕기하 15장은 유다와 이스라엘의 왕들의 통치를 통해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순종과 불순종, 권력의 교만과 부패, 그리고 우상숭배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습니다. 이 장은 이스라엘과 유다의 왕들이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지 않을 때 어떤 결과가 초래되는지를 보여줍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