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마태복음 21장 5절

아량아량드롱 2025. 6. 23. 06:22
728x90
반응형
SMALL

마태복음 21장 5절은 마태가 구약의 예언을 인용하여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이 구약의 성취임을 명확히 드러내는 본문입니다.
예수님이 어떤 메시아인가, 그분의 성품과 임하시는 방식이 무엇인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구절입니다.


마태복음 21장 5절 (개역개정)

“시온 딸에게 이르기를 네 왕이 네게 임하나니 그는 겸손하여 나귀 곧 멍에 매는 짐승의 새끼를 탓도다 하라”


1. 헬라어 원문 (Nestle-Aland 28판)

Εἴπατε τῇ θυγατρὶ Σιὼν· Ἰδοὺ ὁ βασιλεύς σου ἔρχεταί σοι, πραῢς καὶ ἐπιβεβηκὼς ἐπὶ ὄνον καὶ ἐπὶ πῶλον υἱὸν ὑποζυγίου.


헬라어 구절 분석

헬라어 표현                                  의미                     해석 포인트

 

Εἴπατε τῇ θυγατρὶ Σιὼν 시온의 딸에게 말하라 이사야 62:11을 반영한 구절. ‘시온의 딸’은 예루살렘 주민 전체를 상징
Ἰδοὺ ὁ βασιλεύς σου 보라, 네 왕이시다 “Ἰδοὺ”(보라)는 강조 형식 → 메시아의 도래를 경고하고 알리는 표현
ἔρχεταί σοι 너에게 임하신다 의도적 도래, 수동적이 아닌 능동적 행위
πραῢς 온유하신, 겸손한 메시아의 성품을 강조: 폭군이 아닌 섬기는 왕
ἐπιβεβηκὼς ἐπὶ ὄνον καὶ ἐπὶ πῶλον 나귀와 나귀 새끼를 타고 스가랴 9:9의 직접 인용 (히브리어 병행 구조의 영향을 받아 중복 표현된 것)
υἱὸν ὑποζυγίου 멍에 매는 짐승의 새끼 ‘멍에를 지는 짐승의 아들’ → 일한 경험 없는 새끼 나귀로 해석됨 (민 19:2 참조)
 

2. 구약 인용 비교

구절      원문                                                                  마태복음의 적용

 

스가랴 9:9 “... 보라 네 왕이 네게 임하시나니 그는 공의로우시며 구원을 베푸시며 겸손하여 나귀를 타시나니 곧 나귀의 작은 것 곧 나귀 새끼니라” 마태는 이 예언의 후반부(‘겸손하여 나귀를 타시나니…’)에 집중하여 메시아의 겸손함과 평화적 성격을 강조
이사야 62:11 “... 딸 시온에게 이르라 보라 네 구원이 이르렀다...” 메시지가 시온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의 도래임을 드러냄
 

마태는 두 예언을 요약·편집하여 하나의 메시지로 전달:
“너희 왕이 온다! 그런데 그는 겸손하고, 나귀를 타신다.”


3. 신학적 의미

1) 메시아의 성품: 온유(práus)와 겸손

  • 이 단어는 마태복음 11:29에서 예수님이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다”고 스스로를 소개할 때도 사용됨.
  • 예수님은 무력을 통한 정복자가 아니라, 겸손과 섬김을 통해 구원을 이루시는 메시아.

2) 나귀를 탄다는 것의 상징성

  • 왕이 말을 타고 입성하는 것은 정복과 전쟁의 상징
  • 나귀평화와 순종, 겸손의 상징
  • 이는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과 이어지는 자기 비움(케노시스)의 메시지를 미리 보여줌
    → (빌립보서 2:6–8과 연결됨)

3) “시온의 딸” = 하나님의 백성에게 임하는 구원의 메시지

  •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은 단지 행정적인 ‘입장’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선포하는 구속사의 정점

4. 문학적 구조와 강조

  • “보라(ἰδοὺ)”: 주의를 집중시키는 감탄형
  • “네 왕”, “너에게 오신다”: 친밀한 관계 강조 → ‘멀리 있는 구세주’가 아니라 너를 위한 왕
  • “온유하고 나귀를 타신다”: 일반적인 왕의 모습과 대조적인 이미지 → 신학적 반전

5. 적용적 메시지

핵심 진리                                  설명                           오늘날의 적용

 

예수님은 겸손한 왕으로 오신다 나귀를 타신 메시아는 힘이 아니라 사랑과 섬김으로 다가오심 우리는 세상의 방식이 아닌 예수님의 방식으로 리더십을 배워야 함
하나님의 구원은 계획된 길이다 구약 예언이 성취됨 → 하나님의 말씀은 신실하게 이루어진다 말씀을 신뢰하며, 나의 삶에도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될 것임을 믿으라
하나님의 나라는 소란이 아닌 평화로 임한다 전쟁의 상징인 말이 아니라, 평화의 나귀를 선택하심 그리스도의 평화는 우리의 마음과 공동체 안에도 임해야 한다
 

6. 결론 요약

마태복음 21장 5절스가랴서와 이사야서의 예언이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에서 완전히 성취되었음을 선포하는 말씀입니다.
그분은 화려하고 군사적인 왕이 아니라, 온유하고 겸손하며 우리를 위해 나귀를 타고 오시는 왕입니다.
예수님을 맞이하는 자는 메시아의 방식에 맞는 겸손과 순종의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