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마태복음 20장 33절
아량아량드롱
2025. 6. 20. 18:25
728x90
반응형
SMALL
마태복음 20장 33절은 앞절(32절)에서 예수님께서 두 맹인에게 “너희에게 무엇을 하여 주기를 원하느냐”라고 물으신 후, 그들의 응답을 담고 있는 말씀입니다.
마태복음 20장 33절 (개역개정)
“그들이 이르되 주여 우리의 눈 뜨기를 원하나이다”
본문 해석
1. “그들이 이르되”
- 여기서 "그들"은 앞서 예수님을 향해 두 차례나 외친 두 맹인입니다 (30절, 31절).
- 예수님의 질문(“무엇을 하여 주기를 원하느냐?”)에 대해 이들은 지체 없이 응답합니다.
이는 그들의 간절함과 믿음이 확고했음을 보여줍니다.
2. “주여”
- 그들은 다시 한번 예수님을 ‘주님’(κύριε, kyrie)라고 부릅니다.
단순한 존칭이 아니라, 예수님의 권위와 신성을 인정하는 믿음의 고백입니다. - 맹인들은 비록 세상은 볼 수 없었으나, 예수님이 누구신지는 영적으로 보았습니다.
3. “우리의 눈 뜨기를 원하나이다”
- 이 간구는 매우 단순하면서도 명확합니다.
- “눈을 뜨게 하소서” (ἵνα ἀνοιγῶσιν οἱ ὀφθαλμοὶ ἡμῶν)는:
- 육체적인 치유 요청임과 동시에,
- 영적인 해방과 회복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 성경에서 ‘눈이 열리는 것’은 자주 깨달음, 구원, 진리의 인식을 상징합니다.
이 맹인들의 요청은 단순히 시력을 회복하기 위함이 아니라, 예수님을 믿는 자로서 온전한 삶을 살고자 하는 바람을 담고 있습니다.
신학적 메시지
1. 구체적인 믿음의 표현
- 예수님의 질문은 "무엇을 원하느냐?"입니다. 그에 대한 이들의 대답은 구체적이고 믿음을 동반한 간청입니다.
- 막연한 기도가 아니라, 예수님의 능력을 신뢰하고, 그분이 주실 수 있는 것을 명확히 아는 신앙의 표현입니다.
2. 하나님은 구체적인 기도를 기뻐하신다
- 이 구절은 우리가 하나님께 구체적으로 기도하고, 믿음으로 간청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 그들은 “도와주세요”라고 하지 않고, “눈을 뜨게 해 주세요”라고 명확히 요청합니다.
우리의 기도도 이렇게 구체성과 믿음이 함께 있어야 합니다.
3. 겸손과 신뢰의 기도
- “주여, 우리의 눈 뜨기를 원하나이다”는 말은 절박함 + 신뢰 + 겸손이 담긴 기도입니다.
그들은 의심 없이 예수님의 능력을 믿고, 그분의 긍휼을 구하고 있습니다.
실천적 적용
적용 질문 삶에의 적용
나의 기도는 구체적인가? | 하나님 앞에서 막연한 기도보다, 믿음으로 구체적으로 간구하고 있는가? |
예수님의 능력을 신뢰하는가? | 상황이 막막해도 “주여, 눈을 뜨게 하소서”와 같은 믿음의 기도를 드리고 있는가? |
영적 시력을 구하는가? | 세상의 성공보다 하나님의 뜻을 분별할 수 있는 눈을 먼저 열어달라고 구하고 있는가? |
영적 적용: "영혼의 눈을 뜨게 하소서"
이 구절은 오늘날 우리 모두의 영적 기도가 되어야 합니다:
“주여, 저의 눈을 뜨게 하셔서
주님의 뜻을 알게 하시고,
세상 속에서 주님을 분별하게 하시며,
죄에서 벗어나 주님을 바라보게 하소서.”
다음 구절 연결 (20:34)
다음 절에서는 예수님께서 긍휼히 여기시며 그들의 눈을 고치시고, 그들은 곧 보게 되어 예수를 따릅니다.
이 흐름은 단순한 치유 이야기로 끝나지 않고, 제자도의 시작으로 이어집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