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마태복음 20장 31절
아량아량드롱
2025. 6. 20. 17:56
728x90
반응형
SMALL
마태복음 20장 31절은 다음과 같은 말씀입니다 (개역개정 기준):
“무리가 꾸짖어 잠잠하라 하되 그들이 더욱 소리 질러 이르되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다윗의 자손이여 하니”
이 구절은 예수께서 여리고를 떠나실 때, 길가에 앉은 두 명의 맹인이 예수께 “주여, 다윗의 자손이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하고 외친 장면(20:30)에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이제 31절에서는 그 주변 무리들이 맹인들을 조용히 시키려 하자, 그들이 오히려 더욱 간절하게 외친 상황이 묘사됩니다.
1. "무리가 꾸짖어 잠잠하라 하되"
- 여기서 ‘무리’(ὄχλος, ochlos)는 예수를 따르던 군중 또는 그 길을 지나가던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 ‘꾸짖다’는 헬라어 원문은 ἐπετίμησεν (epetimēsen)으로, ‘엄하게 책망하다’, ‘질책하다’라는 뜻입니다. 즉, 단순히 “쉿!” 정도가 아니라, 상당히 공격적이고 억제하는 어조입니다.
- 이들의 행동은 당시 맹인이나 병든 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반영합니다. 그들은 종종 무가치하게 여겨졌고, 예수님께 다가갈 자격이 없다고 여겨졌습니다.
2. "그들이 더욱 소리 질러 이르되"
- 원어상 ‘더욱 소리 질렀다’는 말은 κράζω (krazō)의 강화형으로, '크게 외치다, 절규하다'는 의미입니다.
- 이는 단순한 말하기가 아니라 심령 깊은 곳에서부터 나오는 절박한 부르짖음을 의미합니다.
- ‘더욱’이라는 표현(μᾶλλον)은 무리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믿음과 간절함이 더욱 강해졌음을 보여줍니다.
3.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다윗의 자손이여"
- 이 문장은 앞절(30절)과 같은 간구로 반복됩니다. 이 반복은:
- 그들의 믿음의 고백이 흔들리지 않음을
- 그들이 진정으로 예수를 메시아로 믿었음을
- 예수님만이 자신들을 치유할 수 있는 분임을 확신했음을 보여줍니다.
- “다윗의 자손이여”는 단순한 존칭이 아니라, 메시아 칭호입니다. 이 맹인들은 시력을 잃었지만, 영적 시력은 온전하였습니다.
- 당시 대다수 사람들은 예수님을 메시아로 이해하지 못했지만, 이들은 신앙적으로 정확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4. 신학적/영적 의미
- 세상은 약한 자의 외침을 억누르려 하지만, 하나님은 그들의 부르짖음을 들으십니다.
- 신앙은 방해 앞에서도 포기하지 않는 집념과 확신을 동반합니다. 이 맹인들은 꾸짖음에도 불구하고 더욱 강하게 믿음을 표현함으로써, 예수님의 관심을 끌게 됩니다.
- 이 장면은 신앙 고백의 모델이 됩니다. 외적인 장애나 사회적 억압에도 불구하고, 예수님을 향한 간절한 믿음의 외침은 절대로 헛되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5. 적용적인 메시지
- 오늘날 우리 삶에서도 절망과 무관심, 타인의 냉소 속에서 하나님께 드리는 간구가 조롱받을 수 있습니다.
- 그러나 믿음의 사람은 그런 방해를 뚫고 더욱 담대하게 하나님을 부르짖는 자입니다.
- 이 두 맹인의 부르짖음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절박한 외침을 결코 외면하지 않으십니다.
결론 요약
구절 요소 의미 및 해설
무리의 꾸짖음 | 사회적 억압, 믿음 없는 시각 |
맹인의 더욱 큰 외침 | 절박함, 믿음의 강도 |
반복되는 간청 | 신앙 고백의 지속성 |
‘다윗의 자손’ | 예수의 메시아 되심에 대한 인식 |
영적 메시지 | 방해를 넘어서는 믿음의 외침은 응답받는다 |
다음 절인 32절에서는 마침내 예수님께서 발걸음을 멈추고, 그들의 요청을 들으십니다. 이처럼 31절은 믿음의 시험과 그 승리를 보여주는 장면이라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