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창세기 1장 4절

아량아량드롱 2025. 3. 5. 05:07
728x90
반응형
SMALL

창세기 1장 4절 (개역개정)

"빛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


1. 문맥적 배경

앞선 1장 3절에서 하나님께서 “빛이 있으라” 하셨고, 빛이 창조되었습니다.
그 다음 순서로, 하나님께서는 그 빛을 평가하시고, 어둠과 구분(분리) 하시는 장면이 4절입니다.

창조는 단순히 “만드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① 창조 → ② 분리 → ③ 질서 확립 → ④ 이름 부여
이런 순서로 진행됩니다.


2. 원어적 분석

히브리어 원문:

"וַיַּרְא אֱלֹהִים אֶת־הָאוֹר כִּי־טוֹב וַיַּבְדֵּל אֱלֹהִים בֵּין הָאוֹר וּבֵין הַחֹשֶׁךְ"
(Vayyar Elohim et-ha'or ki-tov vayavdel Elohim beyn ha'or uveyn hachoshekh)

 

단어                                                                                뜻

וַיַּרְא (Vayyar) 하나님이 보셨다
אֱלֹהִים (Elohim) 하나님
אֶת־הָאוֹר (et-ha'or) 그 빛을
כִּי־טוֹב (ki-tov) 참 좋았다 / 선했다
וַיַּבְדֵּל (Vayavdel) 그리고 구분하셨다
בֵּין (Beyn) 사이에
הָאוֹר (ha'or)
הַחֹשֶׁךְ (hachoshekh) 어둠

여기서 중요한 동사는

  • “보시다” (Vayyar)
  • “구분하다/나누다” (Vayavdel)

입니다.


3. 신학적 의미

1) "보시기에 좋았더라" (כי טוב, Ki Tov)

  • "좋다" (Tov)는 단순히 감각적인 "예쁘다" 또는 "괜찮다"가 아닙니다.
  • 여기서 “Tov”는 하나님 보시기에 합당하고 목적에 맞는 상태라는 뜻입니다.
    ➤ 창조된 것이 기능적으로, 존재론적으로, 그리고 윤리적으로 완전하고 선함을 의미합니다.
  • 즉, 이 빛은 혼돈을 깨고 생명의 터전을 마련하는 데 완벽하게 작동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뜻합니다.

2) "하나님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

  • “구분(분리)”(히. "히브딜")이라는 동사는 창조 6일 동안 반복되는 핵심적 작업입니다.
    • 하늘과 물을 나누고
    • 바다와 땅을 나누고
    • 낮과 밤을 나누고
    즉, 창조란 혼돈에서 분리를 통해 질서를 세우는 과정입니다.
  • 여기서 하나님은 단순히 물리적 구분만 하신 것이 아니라,
    빛 = 질서와 생명, 어둠 = 혼돈과 무질서를 상징적으로 분리하셨다고 해석합니다.

3) 빛과 어둠의 공존

  • 어둠이 사라진 것이 아니라, 어둠과 빛이 구분되어 공존하게 만드셨습니다. 이 세상에는 낮과 밤, 빛과 어둠, 선과 악, 질서와 혼돈이 함께 존재합니다.
    다만, 이 모든 것을 하나님이 다스리신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4. 영적/신학적 해석

요소                   의미

생명, 선함, 하나님의 임재,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
어둠 혼돈, 무질서, 죽음, 때로는 죄의 상징
구분 하나님께서 질서를 통해 세계를 완성해가시는 과정
좋았더라 하나님의 기준에 맞는 완전함과 선함

신약적 연결

신약에서는 이 빛과 어둠의 개념을 영적 의미로 확대합니다.

  • 요한복음 1:5
  • "빛이 어둠에 비치되 어둠이 깨닫지 못하더라."
    예수님이 세상에 오셔서 혼돈과 죽음의 권세를 이기시는 빛으로 오셨다는 뜻이죠.
  • 고린도후서 4:6
  • "어두운 데에 빛이 비치라 말씀하셨던 그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의 얼굴에 있는 하나님의 영광을 아는 빛을 우리 마음에 비추셨느니라."

5. 정리

구절                                  해석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 기준의 완전함, 선함, 목적에 맞는 상태
"빛과 어둠을 나누사" 혼돈에서 질서로, 분리를 통한 창조 완성의 시작
영적 적용 우리 삶 속에서도 하나님의 빛이 어둠을 몰아내고 질서를 세우신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