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예레미야 26장
아량아량드롱
2024. 12. 10. 07:15
728x90
반응형
SMALL
예레미야 26장은 예레미야가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과정에서 겪는 위협과 반대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심판의 메시지를 전했지만, 이를 들은 제사장들과 백성들은 격분하며 그를 죽이려고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보호와 다른 지도자들의 도움으로 예레미야는 살아남습니다. 이 장은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선지자의 사명과 그에 따른 위험을 강조합니다.
1. 구조와 내용
1) 예레미야의 경고 (1-6절)
- 1절: 예레미야가 유다 왕 여호야김의 초기에 받은 하나님의 말씀을 전합니다.
- 여호야김은 유다의 마지막 왕들 중 하나로, 그의 통치는 영적으로 쇠퇴하고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였습니다.
- 2-3절: 하나님은 예레미야에게 성전 뜰에서 모든 유다 사람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라고 명령합니다.
- 하나님은 백성들이 듣고 회개하면 재앙을 돌이킬 수 있다고 말씀하십니다.
- 4-6절: 예레미야는 유다가 하나님의 율법에 순종하지 않으면 심판이 임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 예루살렘 성전은 실로와 같이 버림받게 될 것이며, 유다와 예루살렘은 황폐해질 것입니다.
- "실로"는 하나님의 성막이 있었지만, 하나님의 심판으로 파괴된 장소를 의미합니다(삼상 4:12-22).
2) 예레미야에 대한 반발 (7-11절)
- 7-8절: 제사장들, 선지자들, 백성들은 예레미야가 예루살렘 성전과 유다에 대해 심판을 선언하자 격분합니다.
- 예레미야가 “너희가 이 성읍에 심판이 임할 것이다”라고 말했을 때, 이는 그들의 종교적 자부심과 안전을 위협하는 메시지로 받아들여졌습니다.
- 9절: 백성들은 예레미야를 죽이려 하며 외칩니다.
- "너는 반드시 죽어야 한다"는 말은 당시의 신성모독죄를 근거로 한 것입니다.
- 10-11절: 유다의 고관들이 소식을 듣고 왕궁에서 성전으로 와서 상황을 조사합니다.
- 제사장들과 선지자들은 예레미야를 고소하며, 그의 예언이 죽을 만한 죄라고 주장합니다.
3) 예레미야의 변론 (12-15절)
- 12-13절: 예레미야는 자신이 한 모든 말이 하나님께로부터 온 것임을 밝힙니다.
- 그는 백성들에게 회개를 촉구하며, 그러면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임할 재앙을 돌이키실 것이라고 말합니다.
- 14-15절: 예레미야는 자신의 생명을 그들의 손에 맡기지만, 자신을 죽이면 무고한 피를 흘리는 죄를 짓게 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 그는 자신의 사명을 포기하지 않으며,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담대하게 서 있습니다.
4) 지도자들의 판단 (16-19절)
- 16절: 고관들과 백성들은 예레미야가 죽을 죄를 범하지 않았다고 판단합니다.
- 그들은 그의 메시지가 하나님의 말씀임을 인정합니다.
- 17-19절: 장로들 중 몇몇은 옛날 미가 선지자의 예를 들어 예레미야를 변호합니다.
- 미가는 히스기야 시대에 비슷한 심판의 예언을 했지만, 히스기야는 회개하며 하나님의 긍휼을 얻었습니다(미 3:12).
- 이들은 하나님께서 예레미야의 메시지를 통해 유다를 경고하고 계신다고 강조합니다.
5) 우리아 선지자의 죽음과 예레미야의 구원 (20-24절)
- 20-23절: 또 다른 선지자 우리아가 하나님의 심판을 예언했으나, 여호야김 왕에 의해 체포되어 죽임당한 사건이 언급됩니다.
- 우리아는 두려움에 이집트로 도망쳤으나, 왕의 명령으로 잡혀와 살해됩니다.
- 이 사건은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선지자들이 직면한 위험을 보여줍니다.
- 24절: 예레미야는 사반의 아들 아히감의 보호로 죽음을 면합니다.
- 아히감은 경건한 지도자로, 후에 느부갓네살에 의해 임명된 그다랴 총독과도 연관된 인물입니다(렘 39:14).
2. 핵심 메시지
-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경청의 필요성
- 하나님은 백성들에게 회개를 촉구하며 심판을 경고하십니다.
- 백성들이 회개하면 심판을 돌이킬 수 있다는 하나님의 은혜와 자비가 드러납니다.
-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선지자의 사명
- 예레미야는 위협 속에서도 하나님의 말씀을 담대히 전합니다.
- 그의 사명은 생명의 위협을 받으면서도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 인간의 반응: 거부와 인정의 갈등
- 제사장들과 선지자들은 예레미야를 신성모독죄로 몰아 죽이려 했습니다.
- 그러나 일부 지도자들과 백성들은 그의 메시지가 진리임을 인정하며 변호합니다.
- 하나님의 보호와 인간의 역할
- 예레미야는 아히감의 도움으로 살아남습니다.
- 이는 하나님께서 사람을 통해 그의 선지자를 보호하시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 순종과 회개의 중요성
- 히스기야 왕의 회개가 하나님의 긍휼을 얻은 예로 제시됩니다.
- 이는 지도자들과 백성들에게 진정한 회개가 무엇인지를 보여줍니다.
3. 오늘날의 적용
- 하나님의 말씀을 용기 있게 전하라
- 예레미야처럼,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데 있어 담대해야 합니다.
- 반대와 위협이 있더라도 진리를 말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 회개와 순종의 삶을 살라
- 유다 백성의 불순종은 심판을 불러왔지만, 회개는 하나님의 긍휼을 얻는 길입니다.
- 오늘날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회개의 열매를 맺어야 합니다.
- 선지자를 통한 경고에 주의를 기울이라
- 하나님은 말씀을 통해 경고와 권면을 주십니다.
- 우리는 이를 무시하지 말고, 하나님의 음성에 귀 기울여야 합니다.
- 하나님의 보호를 신뢰하라
- 예레미야는 위험 속에서도 하나님의 보호 아래 있었습니다.
- 하나님의 일을 행하는 자는 결국 하나님의 손길 안에 있습니다.
4. 결론
예레미야 26장은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사명자에게 닥칠 수 있는 위험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보호와 계획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예레미야는 생명의 위협 속에서도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했으며, 이는 오늘날 하나님의 진리를 전하는 우리의 자세와 믿음을 도전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에 귀 기울이며, 그 뜻에 따라 살아가는 삶을 추구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